JAVA로 만든 맞춤형 쇼핑몰 솔루션 - 세일즈온 클라우드

  • 컨테이너 Container (앱+미들웨어)
  • 컨테이너 Container (앱+미들웨어)
  • 컨테이너
    관리
    소프트웨어
  • OS
  • 하드웨어

도커(Docker)와 컨테이너(Container)란?

도커(Docker)컨테이너(Container)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는 호스트 OS상에 논리적인 구획(컨테이너)을 만들고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하나로 모아,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가상머신(VM)과 도커(Docker)의 차이점은?

가상머신(VM)의 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에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전체가 포함됩니다.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과 꼭 필요한 바이너리/라이브러리만 갖추고 있으며, 운영체제 상의 사용자 공간에 격리된 프로세스로 구동되기 때문에 가상머신의 이점을 누리면서도
이동성이 훨씬 뛰어납니다.
    • Front
    • Back office
    • API
    • Bins/Libs
    • OS
    • Front
    • Back office
    • API
    • Bins/Libs
    • OS
    • Hypervisor
    • Host
      Operating
      System
    • Infraructure

    VM부하 발생시 불필요한 자원까지 증설

    • Front
    • Bins/Libs
    • Back office
    • Bins/Libs
    • API
    • API
    • API
    • Bins/Libs
    • docker
    • Host
      Operating
      System
    • Infraructure

    도커(Container)부하 발생시 필요한 자원만 오토스케일업

Docker APP

Window Server / Linux Container / Docker

Paas cloud service

Microsoft
Azure
Customer
Datacenter
Service
Provider

도커 컨테이너를 이용하면
왜 클라우드 비용이 저렴할까?

가상머신(VM)은 Hypervisor가 하드웨어 가상화를 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Guest OS가 올라가는 반면,
컨테이너(Container)는 Docker-engine 위에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바이너리만 올라가며 그 외 커널 부분은 호스트의 커널을 공유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GB급인 가상머신이 아닌,
PaaS 기반의 MB급 도커 컨테이너를 적용하여 가상머신보다 리소스를 훨씬 적게 사용하고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더 높은 밀도로 패키징이 가능하여
클라우드 인프라의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인프라 추가 시 작은 단위로 인프라를 증설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맞는 최적화된 요금을 산정합니다.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이란?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은 정상적인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리소스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능으로, 서비스 요청이 늘어나면 이를 수용하기 위해 서버의 수를 늘려 연산 능력을 향상시키고, 반대로 서비스 요청이 줄게 되면 불필요한 서버의 수를 줄이게 됩니다.

서버의 수를 늘려서 서비스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Scale-out이라고 하고, 반대로 서비스 요청이 줄어서 서버의 수를 줄여서 서비스 능력을 줄이는 것을 Scale-in이라고 합니다.
  • Internet

    Load Balancer

    Server group

    Scale-out

  • Internet

    Load Balancer

    Server group

    Scale-in

컨테이너 기반의 오토스케일링은
왜 효율적일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특히 애플리케이션 확장이 필요한 경우, 그에 적합한 확장 방법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오토스케일링 방법은 수평 확장입니다. 수평 확장의 경우 서버 인스턴스를 추가/제거 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전체의 인프라를 확대 및 축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체 부하를 측정하여 동적으로 조정해야 하므로 기술도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 됩니다.

반면 세일즈온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컨테이너 기반의 수직 확장은 컨테이너 단위의 명확한 구분과 작은 단위로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술적 측면에서도 간편하고 비용적 측면에서도 수평 확장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
Pod Pod

update request

Metric

Deployment

Vertical
Pod
Autoscaler
세일즈온 클라우드와 함께
쇼핑몰을 시작해보세요.
문의하기
문의하기 TOP